빅 헬스클럽[BIG FITNESS CLUB]

[정왕동 헬스장] 겨울철 쏟아지는 졸음 ‘동곤증’, 어떻게 하면 좋을까? 본문

빅헬스와 건강정보

[정왕동 헬스장] 겨울철 쏟아지는 졸음 ‘동곤증’, 어떻게 하면 좋을까?

트레이너 이신일 2023. 12. 17. 13:08
728x90

동곤증을 아시나요?

겨울철에 발병하는 계절성 정서장애, 즉 동곤증은 춘곤증과 마찬가지로 자주 졸음이 몰려오고, 매사에 의욕이 줄어들어 한없이 무기력해진다 보통 가을에서 겨울로 접어드는 10~11월쯤에 나타나 늦겨울과 초봄의 경계인 2월에 증상이 가장 심해진다 겨울에 이런 증상이 심해지는 이유는 햇빛의 양과 관련이 있다.

우리 몸은 햇빛을 통해 행복호르몬이라 불리는 세로토닌을 합성하는데, 겨울철엔 일조량과 일조시간이 부족하고 상대적으로 야외활동이 줄어들면서 신체가 햇빛을 받을 수 있는시간이 그만큼 줄어들기 때문이다 동곤증이 심해지면 우울증과 불면증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미연에 예방하는 것이 좋다.

동곤증 예방법


동곤증을 예방하기 위해선 평소 햇빛을 많이 받는 게 중요하다 점심시간을 이용해 15분 정도 야외 산책이나 일광욕을 하는 것이 좋으며, 실내 조명을 환하게 밝혀 두는 것도 도움이 된다 밤에 잠을 잘 때는 빛을 완전히 차단해야 좋다 자는 동안에는 희미한 빛이라도 시신경을 자극해 수면호르몬인 멜라토닌의 분비를 줄어들게 하기 때문이다.

붉은 고기, 콩, 바나나, 초콜릿 등을 먹는 것도 효과적이다 이런 음식에는 세로토닌의 원료인 트립토판이라는 필수아미노산이 풍부하게 들어있어 겨울철 졸음과 우울감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 또 만병통치약인 웃음도 동곤증을 예방하는 데 효과적이다 웃을 때는 세로토닌, 엔도르핀 등 기분을 좋게 하는 뇌신경 전달물질 분비가 늘어 뇌 활동이 활발해지기 때문이다.

Comments